<명량>은 관객 1760만명 역대 한국영화 흥행1위 영화입니다
이순신장군의 전투 중 가장 극적인 승리인 명량해전을 다룬 영화입니다
이 영화에 대해 관객들의 평은 대단히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평론가들의 평은 의외로 낮다고 하네요
평론가평은 참고 상황일 뿐이지만 캐릭터와 이야기에 지적이 많은 듯 합니다
내가 보기에 <명량>은 딱 두가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이순신 장군이고 다른 하나는 명량해전입니다
다른 영화와는 다르게 명량해전이 러닝타임 반이상을 차지하는 영화이므로 여러 이야기를 담는 것이 역효과가 생길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캐릭터들도 전형화되어 있습니다
이 영화는 이순신 장군이라는 민족적 영웅과 명량해전만으로도 관객에세 어필할 수 있다고 본 듯 합니다
두 놈만 패는 선택과 집중이라고나 할까 그리고 이 전략은 흥행1위라는 성적이 보여주듯이 성공합니다
<명량>은 보는 사람에 따라 없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국뽕이나 신파를 자제하려고 애쓴 모습이 보입니다
어차피 이순신장군과 명량해전을 다룬다는 것은 그 밑에 국뽕을 깔고 간다고 봐야 합니다 그래서 국뽕이 과하게 표현되었다면 거부감이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감정표현을 최대한 자제시킨 듯 합니다
이순신 장군은 부하의 죽음에 어떤 감정적 표현을 보여주진 않지만 꿈에 죽은 부하들이 나타납니다
한국영화에서 곧잘 사용하는 집어주기가 아닌 보여주기입니다
그리고 그 죽은 부하들의 꿈으로 인해 암살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순신 장군은 '충은 백성을 향해야 한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순신이 백성을 보살피는 장면은 없습니다
백성들은 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의 목숨을 구해줍니다
이순신 장군의 부하와 백성을 살피는 마음을 집어주기가 아닌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순신 장군이 부하와 백성에게 도움을 받는다는 것은 이들의 관계가 일방적이 아닌 양방향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충은 백성을 향해야 한다'는 말은 현시대정신에 부응한 주제의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민심이 천심. 이것이 마지막 결말에서 이순신장군과 아들이 이야기한 천행인 것입니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순신장군의 "이 쌓인 원한들을 어이할꼬"라는 대사에서 전쟁에 대한 회의, 인간애까지 보여줍니다
"두려움을 용기로 바꿀 수 있다면..... 내가 죽어야겠지"
이순신 장군은 조선군의 두려움을 용기로 바꾸기 위해 최전방에서 홀로 적과 목숨을 걸고 싸웁니다
지휘관이 안전한 후방에서 지휘하지 않고 자기희생을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이런 자기감정표현의 절제 그리고 자기희생의 리더십과 가슴속 깊이 부하와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이 바로 이상적인 장군상이자 지도자상으로 관객에게 어필한 것 같습니다
명량해전은 평론가나 관객이나 모두가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한국영화에서 이런 해전은 역대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전투는 다른 특징과 감성자극으로 지루하지 않습니다
최민식의 연기도 좋았고 역대급 해전과 함께 민족적 영웅인 이순신장군을 가볍거나 억지스럽지 않게 모든 연령대의 관객이 수긍할 수 있는 마음속에 그리던 모습에 가깝게 보여준 점이 흥행성공의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노량 죽음의 바다 해석 평 결말 - 닥쳐와 절제 신파는 나쁜가? (전편보다 나은 속편은 없다)
의 손익분기점이 관객수 720만 정도라고 합니다 관객수 455만 명 수준에서 VOD로 출시되면서 사살상 극장상영은 끝났다고 봐야 되는데 추가적인 수익들이 고려해도 손익분기점은 넘지 못할 것이
xodhkd.tistory.com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든슬럼버 해석 결말 - 어색한 콜라보레이션 (2018년) (0) | 2019.02.12 |
---|---|
러브 앤 팝 (Love.and.Pop 1998) 해석 결말 - 원조교제와 성장 그리고 변화 (2) | 2019.02.10 |
영화 1987 해석 결말 -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스포주의) (0) | 2019.02.03 |
아이 캔 스피크 해석 결말 - How are you? Fine thank you. And you? (0) | 2019.02.01 |
GP506 해석 결말 - 같음과 다름 (스포주의) (0) | 2019.01.29 |
댓글